본문 바로가기
가치투자

찰리 멍거의 주식투자 조언 #31 주식을 소유하는 것은 기업을 소유하는 것이다

by 고니과장 2020. 2. 6.
 

The Tao of Charlie Munger

 

www.yes24.com

#31

OWNERSHIP OF A BUSINESS

"View a stock as an ownership of the business and judge the staying quality of the business in terms of its competitive advantage."


본문

 Benjamin Graham, the dean of value investing, looked at owning a stock as owning part of a business. If we look at investing from the standpoint of buying a fracional interest in a business, we can make a determination of whether we are getting a bargain or paying too much. Charlie begins by figuring out what an entire company is selling for, by multiplying the share price by the numbers of shares outstanding. For example, a $6-per-share stock multiplied by 1 million shares outstanding equates to a market value for the whole company of $6 million. Then he asks himself what the company is worth as an economic entit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f the company is worth a lot more than its market valuation, it is a potential buy. If it is worth less, he gives it a pass, but if it has a "durable competitive advantage," he will keep an eye on it in the hope that at some future date it will be selling at a bargain price or even a fair price.

 Finding a business with a durable competitive advantage means determining whether it has staying power. If we are going to buy and hold a company for twenty years, we don't want the product it is selling to become obsolete in year five. A great number of Berkshire's investments have been in companies that have manufactured the same product or provided the same service for fifty or more years. In fact, most of the wonderful businesses that Charlie and Warren ownㅡsuch as the Coca-Cola Company, Wells Fargo Bank, American Express, Swiss Re, Wrigley's Gum, Kraft Foods, and even Anheuser Busch before it was bought ourㅡhave been selling the same product or service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When it comes to the truly great businesses, time is almost always on the investor's side.


의역

 가치투자의 아버지인 벤자민 그레이엄은 주식을 소유하는 것은 기업을 소유하는 것과 같다고 보았다. 투자가 기업의 일부를 소유하는 행위라는 관점으로 접근하면, 우리는 싸게 사는 건지 비싸게 사는 건지 쉽게 알 수 있다. 찰리는 회사가 얼마에 팔리는지 계산하기 위해, 주가에 발행주식수를 곱한다. 예를 들어 주가가 6달러이고 발행주식수가 1백만주라면 이 회사의 시장가치는 600만 달러에 해당한다. 그리고는 장기적 관점에서 그 회사가 얼마의 가치가 있는지 자문한다. 그 회사의 시장가치와 비교하여, 시장가치보다 가치있다 여겨지면 매수를 고려한다. 반대로 시장가치가 비싸면 관심대상이 아니다. 다만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갖춘 기업이라면, 언제 헐값이나 적정 가격으로 내려올지 모르므로 계속 관심있게 지켜볼 것이다.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가진 기업을 찾는 것은 그 기업이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지 지켜본다는 의미다. 만약 우리가 20년 동안 회사를 보유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그 회사가 팔고 있는 제품이 5년 안에 쓸모없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버크셔는 50년 이상 동안 같은 제품을 제조하거나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 회사들에 투자해 왔다. 사실, 찰리와 워렌이 소유한 코카콜라, 웰스 파고 은행,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스위스 리, 리글리 껌, 크래프트 푸즈, 그리고 심지어 앤하이저부시와 같은 멋진 기업들은 대부분  우리가 사기 전에도 100년 넘게 같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해 왔다! 진정 위대한 기업과 함께라면, 시간은 항상 투자자의 편이다.

*본문에서는 power라는 단어를 썼으나, 앞뒤 문맥 상 경쟁우위로 의역.


사족

 투자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돈을 넣었다 뺐다 하는 도박이 아니라, 기업을 소유하는 관점에서 본다는 것. 그렇기에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고, 또 기업을 장기투자 할 수 있는것. 아니, 장기투자 할 수 밖에 없는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