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투자계좌
자산배분, 마켓 타이밍 그리고 종목 선택
(1) 자산배분, (2) 마켓 타이밍 그리고 (3) 종목 선택, 이 세 가지 요인 중 투자 성과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
지금은 자산배분이 압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연기금 업계의 슈퍼스타이자 자산배분의 대가인 스웬슨 박사는 개인 투자자들이 쓸데없이 시장 타이밍을 맞추려 하거나 종목을 골라서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은 결국 실패로 이어진다고 말하며, 절대적으로 자산배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시장이 많이 나아졌지만 개인 투자자들 중에는 여전히 마켓 타이밍과 종목 선택에 열을 올리는 이들이 적지 않다. 여기에는 몇 가지 사정이 있는 것 같다.
- 먼저 자산배분 이론이 초기에 주로 연기금의 성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등장했음을 감안해야 한다. 대규모 자금을 운영해야 하는 연기금은 주식, 채권, 원자재 등 여러 자산에 분산투자할 수밖에 없다. 근본적으로 한곳에 집중투자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이에 반해 투자 금액이 많지 않은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 등에 비율을 정해놓고 리밸런싱 하는 것은 사실 따분하고 재미없는 투자 방법이다.
- 게다가 예전에는 자산배분을하고 싶어도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마땅한 수단이 부족했다. 자산배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주식과 채권, 그것도 국내와 해외, 해외도 선진시장과 이머징마켓에 나눠 투자해야 했는데 저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ETF와 다양한 펀드 상품이 등장해 개인 투자자들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자산배분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세제 혜택이 있는 계좌
개인 투자자들은 자산배분에서 한 걸음 더 낭가 자산 로케이션(asset location)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자산 로케이션이란 자산(asset)을 어디에 위치(location) 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 '어디에'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연금계좌'이다. 즉 세제 혜택이 있는 계좌에서 자산배분을해나가는 것이 효율적인 전략이다.
퇴직연금과 연금저축계좌
어느 국가든지 국민들이 나이 들어 곤궁하게 사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그래서 국민연금 제도를 도입하고, 국민들이 스스로 노후자금을 준비할 수 있도록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인센티브 방식이 세제 혜택이다.
세제 혜택을 받으면서 강제적으로(?) 저축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 퇴직연금과 연금저축계좌이다.
- 이 두 계좌에서 발생한 수익은 모두 과세이연되고 세율도 낮은 편이다.
- 게다가 연말정산을 할 때 소득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 세제 혜택뿐만 아니라 나중에 연금을 수령할 때의 혜택도 만만찮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은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되고(물론 분리과세를 신청할 수도 있다.), 건강 보험료 산정 시 다른 소득과 합산해 보험료를 내야 한다. 반면 퇴직연금이나 연금저축계좌는 모두 연금소득세만 내면 세금 문제가 종결되고, 다른 소득과 합산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료 산정 대상에서도 빠진다.
여유가 있다면 가입 한도까지 연금계좌에 불입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가입할 수 있는, 조세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ETF와 같은 새로운 투자 수단이 등장해 얼마든지 이들 계좌를 통해 자산배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 투자와 해외 투자뿐만 아니라 주식과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그것도 낮은 비용으로 말이다.
이제 자산 로케이션을 통한 자산배분은 노후 준비를 하는 모든 사람이 해야 하고, 모르면 배워야 하는 일이 되었다. 스스로 배우고 익혀야 한다. 연금 투자도 예외는 아닌 것 같다.
- 닉 매기올리 <저스트.킵.바잉. -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줄 3개의 단어> 중에서
※ 세제 혜택이 있는 계좌 알아보기
'배당성장주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스슈왑 파산하면 SCHD 투자자는 어떻게 될까? (0) | 2023.03.29 |
---|---|
배당성장 ETF SCHD 분석 (1) SCHD 소개, (2) SCHD 투자 가치 (0) | 2023.03.27 |
SCHD 리밸런싱 결과 (0) | 2023.03.22 |
매도타이밍 결정 (0) | 2023.03.22 |
주식시장 변동성을 이기는 매수 전략 그리고 매수 시점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