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성장주 투자112 자산배분, 마켓 타이밍 그리고 종목 선택 개인 투자자에게 가장 유리한 투자계좌 자산배분, 마켓 타이밍 그리고 종목 선택 (1) 자산배분, (2) 마켓 타이밍 그리고 (3) 종목 선택, 이 세 가지 요인 중 투자 성과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 지금은 자산배분이 압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연기금 업계의 슈퍼스타이자 자산배분의 대가인 스웬슨 박사는 개인 투자자들이 쓸데없이 시장 타이밍을 맞추려 하거나 종목을 골라서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은 결국 실패로 이어진다고 말하며, 절대적으로 자산배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시장이 많이 나아졌지만 개인 투자자들 중에는 여전히 마켓 타이밍과 종목 선택에 열을 올리는 이들이 적지 않다. 여기에는 몇 가지 사정이 있는 것 같다. 먼저 자산배분.. 2023. 3. 23. SCHD 리밸런싱 결과 SCHD 리밸런싱 결과 1. 배당금 상승 $0.518 → $0.597 (15.2%▲) SCHD는 2012년도부터 꾸준히 배당금(=분배금)을 늘려왔습니다. 분기마다 체크했을 때는 배당금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연간 배당금을 보면 매년 10% 이상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2023년 3월 배당금은 주당 $0.597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상승했습니다. 배당수익률은 현재 3.73%로 2020년 팬데믹 시기를 제외한다면 배당수익률 차트 고점에 해당합니다. 그만큼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 구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리밸런싱을 통해 배당금이 올랐듯이 앞으로도 배당금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포트폴리오 조정 ABBV 등 25개 기업 편입 + IBM 등 24개 기업 제외 .. 2023. 3. 22. 매도타이밍 결정 그렇다면 언제 팔아야 할까? 매도 타이밍 결정 '저스트.킵.바잉.' 투자의 철학을 알고 있음에도 실제로 투자를 하다 보면 자산을 팔아야 할 때가 온다. 매도 타이밍 결정은 투자자에게 가장 힘든 결정 중 하나이다. 매도를 위해서는 투자자의 가장 강력한 감정적 편향, 즉 손실에 대한 두려움과 싸워야 하기 때문이다. 매도를 하는 투자자들은 '상승장을 놓치면 어쩌나', '하락장에서 돈을 잃으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두려움은 여러분이 내리는 모든 투자 결정에 의문을 품게 만든다. 이러한 감정적 편향을 피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배제하고 일련의 객관적 기준에 따라서 매도 결정을 하도록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객관적 기준을 미리 마련해 두면 두려운 감정이 들더라도 매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러 이유를 .. 2023. 3. 22. 주식시장 변동성을 이기는 매수 전략 그리고 매수 시점 주식시장 변동성을 이기는 매수 전략 그리고 매수 시점 투자자라면 변동성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안전만 추구하며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는 사람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아무런 결과를 얻지 못한다. 시장 변동성을 굳이 피하려 애쓰는 사람들은 지나친 손실을 피하려다가 결국에 높은 수익을 올리지 못할 수도 있다. 자산을 크게 불리고 싶다면 시장 변동성과 더불어 주기적인 하락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는 장기투자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당연히 치러야 하는 대가이다. 문제는 어느 정도까지 받아들일 것인가, 그리고 그 대가는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손실회피 전략과 바이앤홀드(Buy&Hold) 전략 여러분은 시장이 몇 퍼센트까지 하락해야 주식투자를 완전히 포기하겠는가? 하락폭이 20%라면 어떨까? 여러분이 생각하는.. 2023. 3. 2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