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투자355

투자조언) 나의 투자 철학 가운데 가장 중요한 기본 요소 하나는 경제나 시장지정학 같은 분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거시적 미래(macro future)'를 결코 알 수 없다는 확신이다. - <하워드 막.. ​나의 투자 철학 가운데 가장 중요한 기본 요소 하나는 경제나 시장지정학 같은 분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거시적 미래(macro future)'를 결코 알 수 없다는 확신이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28 이후 나오는 내용에서도 나오지만 거시적 예측이 효과가 없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다만 예측이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를 한다.하워드 막스 같은 투자의 대가들도 거시적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일개 개인이 전일 미증시나 네이버 뉴스 등을 참고하며 시장을 맞추려는 자세는 얼마나 웃긴가. 2019. 11. 7.
투자조언) 만약 이익이 GDP보다는 심하지만 비교적 완만하게 변동한다면 주식시장은 왜 그렇게 급격하게 상승하고 하락하는 것일까?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 ​만약 이익이 GDP보다는 심하지만 비교적 완만하게 변동한다면 주식시장은 왜 그렇게 급격하게 상승하고 하락하는 것일까? 나는 이것이 심리 변동, 특히 심리가 자본의 가용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본다. 간단히 말해서, 경제가 약간 변동하면 이익을 꽤 크게 변동하는 반면, 대출 창구는 활짝 열리고 쾅 닫힌다. 그래서 이것이 이 메모의 제목이 됐다. 신용 사이클은 가장 변동이 심하고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큰 관심을 가질 만하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97 2019. 11. 6.
투자조언) 투자 리스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투자 리스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부정적인 경제 사건 때문인가?예상에 미치지 못한 기업 실적 때문인가?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인가?이익 감소나 낮은 신뢰도 때문인가? 모두 아니다.투자 리스크는 펀더멘털을 기초로 해서는 정당화할 수 없고, 비이성적으로 높은 벨류에이션을 부여하는, 새로우면서도 사람을 도취시키는 투자 이유로 인해 자산가격이 과도하게 높아졌을 때 발생한다. 그러면 언제 이 가격에 도달하는가?위험회피와 경계심이 사라지고 위험수용과 낙관주의가 지배할 때다. 이런 상태가 투자자들의 가장 큰 적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71 2019. 11. 6.
투자조언) ‘상승 국면의 초입인지 막바지인지’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 그때 진지하게 ‘상승 국면의 초입인지 막바지인지’라는 막스의 질문에 대해 고민했다면 지금과는 다른 결과를 얻은 사람이 많았으리라 생각한다. 이것은 앞으로도 마찬가지다. 막스의 질문을 기억하고, 또 그의 책을 통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워간다면 앞으로 절호의 투자 기회를 놓치는 일은 더는 없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1 끝나가는 2019년, 그리고 다가오는 2020년은 어떤 국면인가 2019.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