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투자355

투자조언) 사이클은 자기교정적이며, 사이클의 전환이 반드시 외부 사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사이클은 자기교정적이며, 사이클의 전환이 반드시 외부 사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클이 한 방향으로 영원히 가지 않고 전환하는 이유는 추세가 스스로 전환에 대한 이유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성공은 그 안에 실패의 씨앗을 품고 있고, 실패는 성공의 씨앗을 품고 있다고 말하고 싶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59 사이클은 '자기교정적'이다.반드시 외부 사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며, 전환하는 이유가 추세 스스로가 전환에 대한 이유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이를 이해한다면, 노이즈에 휘두리지 않고 성공적인 투자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 2019. 11. 13.
투자조언) 중간지점이 얼마나 '옳고', '적절한'지는 상관없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사이클의 이러한 패턴이 있음을 믿고 인지하며 받아들이는 것은 중요하다. 움직임의 시기, 지속 시간, 속도, 힘, 이유 등 세부 사항은 다르고, 이 점이 역사는 반복되지 않는다는 마크 트웨인의 말 이면에 숨겨져 있는 뜻일 수도 있다. 그러나 기초 역학은 대개 비슷하다. 특히 고점이나 저점에서 되돌아오는 움직임은 중간지점에서 거의 대부분 멈추지 않는다. … 중간지점이 얼마나 '옳고', '적절한'지는 상관없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52 시장의 움직임은 중간지점에서 거의 대부분 멈추지 않는다.그리고 중간지점이 얼마나 옳고 적절한지는 상관 없다.이 부분에 대해 착각하지 않고 변동성을 이용할 수 있다면 큰 우위를 가져갈 수 있을 듯. 2019. 11. 12.
투자조언) 사람은 꾸준함과 거리가 있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경제, 기업, 시장의 성과는 단기적으로 다른 무엇보다 사람의 개입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람은 꾸준함과 거리가 있다. 오히려 사람은 종종 '심리'라는 광범위한 이름 아래에 함께 묶을 수 있는 것들 때문에 이따금 요동친다. 따라서 사람의 행동은 다양하다. … 이것은 환경이 달라지면 틀림없다. 하지만 가끔 환경의 변화가 없을 때에도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48 투자와는 무관하지만 사람은 꾸준함과 거리가 있다. 큰 일이건 작은 일이건 하는 일에 있어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큰 우위가 있을 것이다.+) 나부터도 꾸준함과 거리가 있다. 2019. 11. 11.
투자조언) 왜 사이클을 공부해야 하는가?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투자란 금융시장의 미래에 대비해 미리 준비하고 대응하는 것으로, 향후 몇 년 안에 일어날 사건들로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현재의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경제나 시장 지정학 같은 분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거시적 미래(macro future)'를 결코 알 수 없다. (설령 하워드 막스 같은 투자의 대가라 할지라도)그렇다면 투자자로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 다음 세 가지 영역을 보자.· 내가 '알기 쉬운 정보'라고 부르는 것들, 이를테면 산업, 기업, 주식의 펀더멘털에 대해 다른 이들보다 더 알려고 노력한다.· 위 펀더멘털에 투자할 때 지불할 적정 가격을 안다.· 속해 있는 투자환경을 이해하고, 그러한 환경에 대응해 포트폴리오를 전략적으로 포지셔닝할 방법을 정한다. 처음 두 가지는 .. 2019.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