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투자, 기본 원칙과 주의사항 (배당성향 vs. 배당성장률)
배당투자의 기본 원칙
기본 공식은 다음 두 가지 가정에서 출발한다.
- 회사는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
- 배당수익률이 아니라 총수익률이 매력적인 종목을 선정해야 한다.
3장_아인슈타인이 배당투자자라면 66
기본 원칙 1. 회사는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
배당성향은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가운데 배당금으로 지급한 돈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는 첫 번째 가정인 "회사는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에 대처하는 지표다.
만일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보다 더 많은 돈을 배당금으로 지급한다면, 그런 배당금은 유지될 수가 없다. 반면에 이익 가운데 작은 금액만 배당금으로 지급한다면 배당금이 증가할 여지가 있고, 이익이 감소하더라도 배당금을 유지할 수 있다.
아마도 배당성향은 회사가 배당금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 능력을 간편하게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도구일 것이다.
배당성향이 어느 정도면 "안전한" 수준일까? 나는 배당성향이 60%를 넘으면 불안감을 느낀다. 업종에 따라서는 막대한 현금을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예도 있다. 리츠, 특별자산펀드(MLP), 수익권신탁(royalty trust) 등은 배당성향이 90%를 웃돌기도 한다. 배당성향 60%를 상한선으로 정한다면, 이런 종목에는 절대 투자하지 못할 것이다. 게다가 이런 종목들은 배당금이 크게 변동할 수 있다. 이런 이색적인 배당투자에 대해서는 8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여기서는 일단 60%를 배당성향의 상한선으로 정하자. 그러면 배당성향이 60%를 넘어가는 종목은 당연히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곤경도 피할 수 있다.
아마도 배당성향은 회사가 배당금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 능력을 간편하게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도구일 것이다.
3장_아인슈타인이 배당투자자라면 66
기본 원칙 2. 배당수익률이 아니라 총수익률이 매력적인 종목을 선정해야 한다
배당 기준과 투자 기준을 고루 만족하는 종목을 사라. 가장 좋은 종목은 총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이다.
3장_아인슈타인이 배당투자자라면 75
주의사항! 배당수익률 필터를 가장 먼저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앞에서 설명한 필터 두 가지를 거친 다음 배당수익률 필터(예컨대 배당수익률이 2%를 초과하는 종목)를 사용하고 싶다면, 나는 반대하지 않는다. 그러나 배당수익률 필터를 가장 먼저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1) 배당금이 안전한가? (2) 배당금이 증가할 것인가? (3) 전반적인 투자 관점에서 가치 있는 종목인가? 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배당금의 안전성, 배당금 인상 여력, 주식의 전반적인 투자 가치를 분석한 다음에만 배당수익률을 따져야 한다.
3장_아인슈타인이 배당투자자라면 74
- 찰스 칼슨 <배당투자,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BSD 공식>
<배당투자,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BSD 공식> 각 장 보러가기
1장_배당의 중요성
2장_뱃속 편하게 부자 되자
3장_아인슈타인이 배당투자자라면
6장_방어수단
7장_노후자금 지출원칙
8장_아웃당하지 않는 포트폴리오 관리
9장_배당금 재투자로 부를 축적하라
부록A_ 고급 BSD(크고 안전한 배당금) 공식
'배당성장주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법인으로 주식투자 (0) | 2023.07.22 |
---|---|
배당투자, 배당금이 증가하는 주식으로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라 (1) | 2023.07.22 |
배당투자, 높은 배당금도 중요하지만 안전성도 중요하다 (0) | 2023.07.20 |
배당투자, 투자에 대한 보상은 배당금으로 받아라 (0) | 2023.07.20 |
배당투자,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BSD 공식 (0) | 2023.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