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투자

찰리 멍거의 주식투자 조언 #27 일시적/구조적 문제

by 고니과장 2020. 1. 31.
 

The Tao of Charlie Munger

 

www.yes24.com

#27

ENDURING PROBLEMS

"An isolated example that's very rare is much easier to endure than a perfect sea of misery that never ceases."


본문

 Charlie is talking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an excellent company, which might confront a major problem a few times in a span of twenty years, compared with a mediocre company, which might go from problem to problem, year after year. A perfect example of an "excellent company" is the Coca-Cola Company. Over the last fifty year Coca-Cola has screwed up twiceㅡonce when it got into the movie business and again when it reformulated its flagship product and came out with New Coke. It solved both problems by getting rid of them. The perfect example of a mediocre business that goes from one problem to another is any airlineㅡwhich has union problems and fuel cost problems and is in a price-competitive business.

 This bit of wisdom is also applicable to our personal lives; it is far easier to endure a brief moment of intense pain them it is so suffer a misery that drags on years after year.


의역

 찰리는 매년 꼬리에 꼬리를 무는 문제가 발생하는 평범한 회사와, 20년이라는 기간 동안 중요한 문제 몇 번 발생할 수도 있는 훌륭한 회사간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뛰어난 회사"의 완벽한 예는 코카콜라다. 지난 50년 동안 코카콜라는 영화 사업에 뛰어들어 한 번, 뉴코크 출시로 다시 한 번 실패했다. 그리고 그 사업들을 모두 접읍으로써 모든 문제를 해결했다. 문제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평범한 사업의 완벽한 예는 노조 문제와 연료비 문제를 가지고 있고 가격 경쟁적인 사업에 있는 모든 항공사들이다.

 이 지혜의 조각은 우리 삶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 년씩 고통스럽게 질질 끄는 것보다, 짧은 순간 극심한 고통을 견디는 것이 훨씬 쉽다.


사족

 제목을 처음엔 '악재'로 했다가 곧바로 '일시적/구조적 문제'로 바꾸었다.

 본문 코카콜라의 경우가 일시적 문제로, 악재가 해소된다면 기업은 회복되게 될 것이고, 따라서 악재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을 때가 좋은 기회가 된다.

 반대로 항공사의 경우 구조적인 문제가 있기에, 이러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으며, 따라서 주가에도 계속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이런 의미를 살리기 위해 제목을 '일시적/구조적 문제'로 정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