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62

대한민국의 정체성 2017.02.06 강의59 대한민국의 정체성 사회적 상속 각론편을 좀 적기로 했지요.. 우리는 조선이라는 나라를 잃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아.. 지금의 대한민국으로 승화 발전하였다? 근대사는 뒤로 하고 현대사를 좀 점검해보면 우리는 무엇을 물려받고 무엇을 지키며? 무엇을 이루는가?를 알수 있을겁니다.. 이것은 우리는 어디서 왔고 어떻게 살고 있으며 앞날을 위해 어찌 살아야하는가?라는 명제에 대해..성찰의 기회를 가져보자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참 긴 이야기지만 좀 간략하게 잘라서 이야기를 좀 해보고 싶네요.. 꿀이의 역사관 과 시각으로 현대사를 좀 적어보고 싶습니다.. 일본이 물러가고 공산주의와 서구자본주의의 극한대립 시점부터 이야기를 합니다.. 2차 세계대전이후 세계는 미국을 중심으로 .. 2019. 2. 24.
반기문 대선포기 2017.02.03 날이 좀 풀렸나요? 반기문이 급작스런 대선포기에 정치 경제 ..한바탕 시끄럽네요.. 이젠 이런 시끄러움은 일상이 되어버린지..오래지만요.~^^ 문재인 대세론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문재인쪽으로 사람들이 몰리고요.. 여당에서는 마지막 읍소작전을 펼치고 있네요..저저번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바지를 올리고 회초리를 맞겠다고.. 박근혜 대통령을 지켜달라고 유세하던 새누리당 전대표 김무성이가 생각나네요.. 어째든 정치는 그렇게 돌아가고.. 문재인이 당선되면 노무현 경제정책이 다시 펼쳐질 것같습니다.. 이명박 박근혜정부의 수도권집중에서 다시 지방분권 정책이 강력하게 시행될것같습니다.. 지방분권의 핵심은 혁신도시고요.. 아직 문재인의 대세가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 세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사.. 2019. 2. 24.
사회적 상속 2017.02.02 강의58 사회적상속 꿀이가 괭이 갈매기를 보면 그 놈이 다 그놈 같은데.. 지들도 서열이 있고 혈통이 있나봅니다. 지 새끼는 무지 아끼고 보살피는데 남의 괭이 갈매기새끼가 자기네 둥지나 곁으로 오면 날까로운 부리로 쪼고 물고 죽이기까지 하더라고요.. 지새끼한테 쏟아붇는 그 열정을 조그만 옆에 나누어주지..척박하고 좁은 바위섬에서 살면서 좀 나누고 살면 어때서.. 에이 갈매기 같은 놈들.. 이러고 싶지만 인간은 자기 자식에게 더하면 더했지 못하지도 않은가봅니다.. 더 큰 눈으로보면 그 인간이 그인간일테데.. 자연적 본능은 그런것같지 않습니다.. 저번에 자연적선택 사회적선택에 대해 이야기를 했는데 이번에는 자연적상속 사회적상속에 대해 이야기를 좀 해볼까 싶네요.. 자연적상속은 본능적이고 .. 2019. 2. 24.
적자생존 2017.02.01 강의 57 적자생존 설날이 지나고 또 새로운 한해의 시작과 더불어 삶의 경쟁이 고단함을 주는 때인것같습니다.. 오늘은 적자생존..생태계에서 적응을 잘 하는 종자는 살아 남고 나머지는 사라지는 무시무시한 이야기를 어렸을 때 우리는 배웠지요.. 사라지는 종목은 우리가 아니고 공룡등..그런것들이였지요.. 인간도 생태계의 일부라서 그 영향을 받았으나..인간은 적응을 잘하여서.. 이렇게 살아남았지요.. 그런데 우리가 살아있는 이 사회도 자연계의 일부인 듯 ..너무나 비슷한 영향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요즘 자연과학에 눈이 돌아가니 말입니다.. 동양의 철학 ..주자학의 주역이나 오행의 불 물 나무 흙 쇠 이런것이 자연의 핵심물질 아닐런지요.. 우리가 사는 이 땅은 자연과학의 원.. 2019.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