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10 중국 경제 성장률의 의미 중국 경제 성장률의 의미 - 한재현 경제 성장률의 의미 개혁개방이 시작된 1979년 이후부터 2022년까지 44년간 중국의 연평균 경제 성장률은 9.1%에 달했습니다. 대단한 속도입니다. 경제 규모로 따지면 약 280배 증가했습니다. 그 어느 시기의 그 어떤 국가도 이루지 못한 놀리운 실적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중국의 경제 성장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엄청난 업적임을 찬탄하면서 경이의 눈으로 지켜보면 그만일까요? 혹은 그 과정에서 파생된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성장은 불가능하다고 비판해야 한까요?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갈수록 낯아지고 있는 현상은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률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중국경제의 잠재적인 성장률은 어느 정도로 봐.. 2023. 8. 21. 중국 주식시장의 특징 중국 주식시장의 특징 - 한재현 중국 주식시장 중국에 주식거래소가 최초로 설립된 것은 1990년으로 이제 겨우 30년이 넘었습니다. 1956년에 주식거래소가 설럽된 우리나라는 물론 홍콩(1891년), 도쿄(1878년), 런던(1802년), 뉴욕(1792년) 등에 비하면 역사가 무척 짧은 시장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경제의 급성장에 따라 중국 주식시장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에 이릅니다. 특히 지난 10년간 얼마나 급성장했는지는 수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2년 기휴으로 A주 상징기업은 2,494개였으나 2022년 기준 4,955개로 거의 2배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은 23조 위안에서 76조 위안으로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시가총액 76조 위안은 1.3경(#).. 2023. 8. 19. 중국 부동산 리스크, 중국경제가 부채 위기에 빠지거나 금융시장의 신용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평가하는 이유 중국 부동산 리스크 - 한재현 회사채 문제 우리가 흔히 말하는 회사채는 중국에서 발행 주체에 따라 2가지로 나뉩니다. 국유기업이 발행하는 기업채와 일반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회사채입니다. 당연히 후자가 일반적 의미의 회사채입니다. 기업채라는 채권이 따로 존재한다는 것이야 말로 중국에서 국유기업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021년 하반기에 부동산 재벌 헝다그룹의 회사채 상환 불능 사태가 발생하면서 중국의 회사채 문제가 대내외적으로 볼거졌습니다. 이것은 그동안 내부적으로 누적되어 온 문제가 터진 것에 불과합니다. 중국 기업의 과도한 부채는 이미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온 문제입니다. 2022년 9월 말 기준으로 중국 채권시장 잔액은 143.9조 위안입니다. 2016년 이후로 미국에 이어 .. 2023. 8. 19. 공동부유의 정치적 의미 공동부유의 정치적 의미 - 한재현 선부론이 가져온 경제 불평등 문제 공산주의 혁명을 거치며 평등 사회를 지향했던 중국이 경제 성장으로 점차 부유해짐에 따라 빈부 격차의 심각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주요 국가들 가운데 빈부 격차가 가장 큰 나라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중국은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0.5 내외에 이를 정도로 매우 불평등한 국가입니다. (*지니계수는 한 국가의 소득분배가 완전히 균등할 경우 0, 완전히 불균등할 경우 1의 값을 가집니다.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하다는 의미이지요. 참고로 우리나라는 약 0.3입니다.) 한편 2021년 중국의 '소득 5분위 배율'은 10.3이였습니다. 이는 5분위 계총(최상위 20%)의 평균 소득을 1분.. 2023. 8.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