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스트킵바잉9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가지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가지 투자를 왜 해야 할까? 우리는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세 가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은퇴자금 마련하기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인적자본을 금융자산으로 전환하기 세 가지에 대해 차례로 검토하고 그것들이 각각 여러분의 개인 재정관리에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1. 은퇴자금 마련을 위한 투자 장차 다가올 노후생활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는 것은 투자를 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언젠가 여러분은 일을 하고 싶어도 더 이상 할 수 없는 때를 맞이할 것이다. 소득이 없어질 때 의지할 수 있는 자산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투자가 필요하다. 2.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자산가치를 보전하기 위한 투자 인플레이션은 현금성 자산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모두 지불해야 하는 보이.. 2023. 3. 19.
지출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유용한 2가지 방법 지출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유용한 2가지 방법 돈을 어떻게 쓸 것인가 "꼭 저 차를 사야 할까?" "저 정도 비싼 옷은 괜찮지 않을까?" "매일 라떼 한 잔 정도는 안 될까?" 이러한 종류의 충고들은 끊임없이 자신을 되돌아보도록 강요하고 지출에 대한 불안감을 불러일으킨다. 돈을 더 많이 번다고 해서 불안감이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2017년 리서치회사 스펙트렘그룹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500만~2,500만 달러의 자산가치를 보유한 투자자 중 무려 20%가 엄청난 자산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은퇴 후에도 버틸 수 있는 충분한 돈이 있는지를 걱정했다. 이렇게 사는 건 결코 잘 사는 게 아니다. 돈이 중요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가격표를 볼 때마다 머릿속에 경보라 울려선 안 된다. 충분한 돈이 있을 때조차.. 2023. 3. 18.
얼마나 저축해야 할까? 얼마나 저축해야 할까? 저축에 관한 조언들의 문제점 구글 검색창에 "얼마나 저축해야 할까?"를 쳐본 적이 있는가? 무려 15만 건에 달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첫 페이지를 훑어보다 보면 다음과 같은 조언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소득의 20%를 저축하라." "소득의 10%는 무조건 저축해야 한다. 그다음 더 노력해서 20%를 저축하고, 또 그다음에는 30%를 저축하라." "30세까지 소득의 10%, 35세까지는 소득의 20%를, 40세까지는 소득의 30%를 저축해야 한다." 이러한 조언들은 잘못된 가정을 공유하고 있다. 일단 장기적으로 안정된 수입이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있다. 두 번째는 모든 소득 수준에 있는 사람이 똑같은 비율을 저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을 것이라 가정한다. 이 두 가정 모두 연구.. 2023. 3. 17.
저축을 해야 할까, 투자를 해야 할까 저축을 해야 할까, 투자를 해야 할까 내가 저축-투자 연속선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여러분 각자는 어디쯤 자리 잡고 있을까? 즉 지금 저축을 해야 할 때일까. 투자를 해야 할까? 다음의 간단한 계산법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기대 저축액 vs 기대 투자증가액 우선 내년에 '편하게'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 보라. '편하게'를 기준으로 삼는 이유는 그래야 쉽게 실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기대 저축액'이라 부르겠다. 예를 들어 한 달에 1,000달러를 저축할 수 있다면, 1년의 기대 저축액은 1만 2,000달러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내년에 투자자산이 어느 정도 불어날지 예측해 보라. 예를 들어 1만 달러 가치의 투자자산이 있고 수익률을 10%로 예측한다면 늘어나는 투자자산은 1,00.. 2023.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