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당금13

배당투자, 배당금의 안전성과 성장성을 평가하는 10대 요소 배당투자, 배당금의 안전성과 성장성을 평가하는 10대 요소 다음은 배당금의 안전성과 성장성을 평가하는 10대 요소다. 배당성향 이자보상비율 현금흐름-이익비율 배당수익률 6월 상대강도 1년 동안 유형자산 장부가치의 변화 장기 이익성장률 추정치 3년 현금흐름 증가율 3년 배당금 증가율 3년 이익증가율 1. 배당성향 비중이 30%로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2. 이자보상비율 부채가 많은 회사는 사업 여건이 악화되면 배당금을 지급하기 어려워진다. 회사는 이자 지급은 미룰 수 없지만(부도가 발생하므로), 배당금 지급은 미룰 수 있다. 이자보상비율은 회사의 이익이 이자의 몇 배나 되는지 보여준다. 3. 현금흐름-이익비율 배당금의 주요 원천은 회사의 이익이다. 그러나 그 이익이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가공이익이라면 배.. 2023. 7. 22.
배당투자, 배당금이 증가하는 주식으로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라 배당투자, 배당금이 증가하는 주식으로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라 구매력을 갉아먹는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투자원금에 얼마나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까? 간단한 사례를 보자. 인플레이션이 연 3%라면, 12년 뒤에는 현금의 구매력이 30%나 감소한다. 이는 62세에 은퇴한 사람이라면, 74세가 되었을 때 1달러의 구매력이 30센트 감소한다는 뜻이다. 86세가 되면 구매력은 절반으로 감소한다. 간단히 말해서, 인플레이션이 연 3%만 되어도 25년이 지나기 전에 1달러의 가치가 50센트로 떨어진다.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사이의 관계를 더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있다. 동네 식료품점에서 파는 빵 한 덩어리가 1.50달러라고 하자. 빵 가격이 매년 3% 상승한다면, 25년 뒤에는 3달러가 넘게 된다. 현재 빵 갑승로 매달 5.. 2023. 7. 22.
배당투자, 투자에 대한 보상은 배당금으로 받아라 배당투자, 투자에 대한 보상은 배당금으로 받아라 배당투자의 위력 자본이득과 배당금을 비교한다면, 당연히 배당금이 더 매력적이다. 자본이득은 그해 주식시장 흐름에 큰 영향을 받는다. 물론 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주가는 내려갈 수 있다. 반면에 배당금은 주식시장이 오르든 내리든 늘 지급된다. 배당금은 신뢰도가 높으므로, 주식을 살 때 항상 고려해야 한다. 그렇다고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식만 사라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손안의 새" 이론을 경시해서도 안 된다. 꾸준하게 배당금을 받으면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록터 앤드 갬블'은 1891년 이후 매년 배당금을 지급했다. 그렇다고 1891년 이후 주가가 매년 상승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주주들은 그동안 적은 금액이나마 매년.. 2023. 7. 20.
유나이티드헬스 그룹(NYSE: UNH) 배당금 인상 UnitedHealth Group (NYSE: UNH) announced an increase to its dividend and provided an update on its 2023 annual shareholder meeting. The Board of Directors authorized a 14% increase to its quarterly cash dividend. A cash dividend of $1.88 per share, will be paid on June 27, 2023, to all shareholders of record of UNH common stock as of the close of business June 19, 2023. This dividend represents .. 2023.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