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워드 막스32

투자조언) 투자 리스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투자 리스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부정적인 경제 사건 때문인가?예상에 미치지 못한 기업 실적 때문인가?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인가?이익 감소나 낮은 신뢰도 때문인가? 모두 아니다.투자 리스크는 펀더멘털을 기초로 해서는 정당화할 수 없고, 비이성적으로 높은 벨류에이션을 부여하는, 새로우면서도 사람을 도취시키는 투자 이유로 인해 자산가격이 과도하게 높아졌을 때 발생한다. 그러면 언제 이 가격에 도달하는가?위험회피와 경계심이 사라지고 위험수용과 낙관주의가 지배할 때다. 이런 상태가 투자자들의 가장 큰 적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71 2019. 11. 6.
투자조언) ‘상승 국면의 초입인지 막바지인지’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 그때 진지하게 ‘상승 국면의 초입인지 막바지인지’라는 막스의 질문에 대해 고민했다면 지금과는 다른 결과를 얻은 사람이 많았으리라 생각한다. 이것은 앞으로도 마찬가지다. 막스의 질문을 기억하고, 또 그의 책을 통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워간다면 앞으로 절호의 투자 기회를 놓치는 일은 더는 없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1 끝나가는 2019년, 그리고 다가오는 2020년은 어떤 국면인가 2019. 11. 6.
투자조언) ‘미신’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6 ​ 심지어 한주에 300만 원을 호가하던 삼성전자 주식도 2008년 말에는 50만 원 이상 떨어진 적이 있었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자산시장의 참가자들은 마음을 놓을 수 없다. 그래서 여러 ‘미신’에 의지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미신이 바로 그 10년 주기설이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10년 주기설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면, 그래서 투자에 소극적으로 굴었다면 2017년(주식)과 2018년(서울 아파트)의 투자 찬스는 분명 놓쳤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6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이 미신은 아니었을까? 2019. 11. 5.
투자조언) 성공하는 투자자의 자질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뛰어난 투자자는 심리적 과도한 반응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변동에 참여하지 않는다. 내가 알고 있는 다수의 아주 뛰어난 투자자들은 천성이 감정적이지 않다. 사실 나는 그들의 냉정한 본성이 그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큰 이유 중 하나라고 믿는다. 뛰어난 투자자의 본성은 내가 가장 집요하게 관찰해언 문제 가운데 하나이고, 이와 관련해서 가장 자주 듣는 질문은 냉정함을 배울 수 있느냐는 것이다. 나의 대답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이다. 나는 사람들이 가능한 한 감정의 영향을 세심하게 살피고 그 영향을 억누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선천적으로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사람들이 훨씬 더 쉽게 이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감정의 절제는 재능이다. 감정적인 사람들이 좋은 투자자가 될 수 없다는 말은 아니.. 2019.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