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주식3 중국 주식 시작하기 중국 주식 시작하기 1. 중국 투자의 핵심 포인트 국민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 성향은 달라지는 법이다. 따라서 중국 투자의 핵심 포인트는 1인당 GDP에 있다고 본다. 실제 중국은 과거 한국의 모습을 비슷하게 따라가고 있으며, 여기서 더 나아가 한국의 1인당 GDP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로 가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었던 부분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모습들도 눈에 띈다. (1) 국민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성향은 달라지며, (2) 중국은 주변국인 한국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2가지 기준을 놓고 보면 한국의 과거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해당 기간 한국에서 고성장한 업종은 무엇이 있을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생각을 하면 답이 나온다. '소득 수준이 증가하면 사람들의 패턴도 이에 맞춰 변할 수밖에 없다.' 여행 빈.. 2023. 3. 1. 미국과 중국 주식을 사서 모아야 하는 이유 어떤 나라의 지분을 사서 모아가면 좋을까? 어떤 나라, 어떤 기업의 지분을 사서 모아가면 좋을까? 바로 미국과 중국이다. 수많은 나라 중 미국과 중국 주식을 사서 모아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평범한 직장인이 현재 내 집 마련을 하려면 PIR 지표* 기준으로 서울은 10배 수준이다. 즉 10년을 안 쓰고 모아야 자가 마련이 가능하다는 얘기로 대부분이 대출을 활용해 집을 마련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체 자산 중 약 80~90%가 부동산 자산인 셈이다. 이런 와중에 국내에 한정해 기업의 지분을 모으는 건 동일 국가와 동일 통화 축적 관점에서 리스크를 높이는 일이 될 수 있다. 고도 압축 성장기에 한국 부동산 가격 상승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버블보다는 자연스러운 자본유입으로 여기고 오히려 국내보다 대외변수.. 2023. 3. 1. 중국 주식 투자에 대한 오해와 진실 중국 주식 투자에 대한 오해와 진실 코로나바이러스는 역설적으로 돈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시대를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자산 인플레이션을 가져왔다. 성장성 높은 자산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이제 필수가 됐다. 이런 맥락에서 요즘 해외 주식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국 주식 시장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대비 빠른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관심을 받고 있지만, 동시에 오해와 편견 또한 다양하다. 첫 번째. 중국 기업은 공산당이 좌지우지한다 중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많은 기업들이 중국 정부가 최대 주주인 국유기업이다. 이들 국유기업은 정부가 주인이다 보니 정책 변화와 정치에 영향을 받는다. 정책의 지원을 받을 때는 주가 흐름이 좋다가도 정부에서 경쟁기업을 정책적으로 키워주거나 국유기업 간 시장점유.. 2023. 2.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