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그레이엄3 인플레이션과 기업의 이익 인플레이션과 기업의 이익 참고로 책이 쓰여진 시기는 1971년 말~1972년 초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대중의 주요 관심사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에 화폐의 구매력이 감소했다는 사실, 그리고 미래에는 화폐의 구매력이 더 감소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증권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생활비가 상승하면 고정소득 생활자들은 확실히 고통받게 되며, 원금이 확정된 금융상품에서도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주식을 보유하면 주가 상승과 배당 증가가 구매력 감소를 상쇄해 줄지도 모른다. (중략) 단언하건대, 인플레이션 기간은 기업의 이익 및 주가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없다. 그 명백한 예가 1966-1970년이다. 이 기간 물가 상승률은 22%로서, 1946-1950년 이후 가장 높았다. 그러나 기업의 이.. 2023. 8. 10. 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 이 책에서 추구하는 목적 벤저민 그레이엄 이 책에서 추구하는 목적나는 펀드매니저로 활동하면서 이런 기법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구체적인 조언을 해줄 수도 없고 이런 기법(이전 글 참조)을 권하지도 않는다. 그러면 이 책에서 추구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독자들이 실패하기 쉬운 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잘 맞는 건전한 투자 전략을 수립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적절한 투자 기질우리는 투자 심리에 대해서 많이 논의할 것이다. 실제로 투자자를 위협하는 가장 위험한 적은 바로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수십 년 동안 방어적 투자자들은 주식을 사야 했으며, 그래서 좋든 싫든 주식시장으로부터 자극과 유혹을 받게 되었다. 나는 주장, 사례, 권고를 통해서 독자들이 투자에 대해 적절한 인식과 태도를 확립하도록 안내할 것이다. 적절.. 2023. 8. 10. 투자에 성공하려면 먼저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산업을 선택하고 나서, 그 산업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을 찾아내야 한다 투자에 성공하려면,1. 먼저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산업을 선택하고 나서 2. 그 산업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을 찾아내야 한다? 오래전부터 유행하는 견해에 의하면, 투자에 성공하려면 먼저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산업을 선택하고 나서, 그 산업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을 찾아내야 한다. 예를 들어 노련한 투자지들은 이미 오래진에 컴퓨터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간파하고서 1BM을 찾아냈을 것이다. 그리고 비슷한 방식으로 여러 성장 산업과 성장 기업들을 찾아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작업이 돌이켜보면 쉬워 보여도, 실제로는 쉽지 않다. 이 책의 1949년 판에 실렸던 아래 글을 보면, 이 작업이 쉽지 않음을 실감하게 될 것이다.예컨대 이런 투자자는 항공운수 산업의 장래를 매우 낙관하여, 이 정보가 아직 주가에 충.. 2023. 8.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