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STOCK PRICES
“It is an unfortunate fact that great and foolish excess can come into prices of common stocks in the aggregate. They are valued partly like bonds, based on roughly rational projections of use value in producing future cash. But they are also valued partly like Rembrandt paintings, purchased mostly becaused their prices have gone up, so far.”
- <THE TAO OF CHARLIE MUNGER> (with commentary by DAVID CLARK) 중에서
주가에 대한 재밌는 설명.
채권처럼 가치가 측정되는 부분도 있지만 렘브란트의 작품처럼 가격이 정해지는 부분 역시 있다는 이야기. 이런 두가지 측면이 있다는 것을 모른채 (혹은 무시한채) 한 면만 바라보다보니 결과가 안좋을 수 밖에. 주로 가치투자자들은 전자쪽을, 단기투자자들은 후자쪽만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듯하다.
후자로 인한 부분으로 생기는 비이성적인 변동성 덕분에 나같은 투자자들에게 엣지가 생기는 게 아닐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