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이 책을 어떻게 썼고 왜 썼는가?

by 고니과장 2019. 6. 12.

그렇다면 나는 왜 무모하게도 또 한 권의 책을 쓴 것일까?

그리고 독자 여러분이 돈과 시간을 들여 내가 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데일 카네기,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중에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05870

-

​하지만 강좌가 몇 차례 진행되면서 나는 점차 그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연설 요령에 대한 훈련이 필요한 것 이상으로, 업무적으로 혹은 개인적으로 매일 접하는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기술에 대한 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데일 카네기,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중에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05870

-

이런 책을 내가 20년 전에만 볼 수 있었어도 얼마나 좋았을까! 그랬다면 나는 얼마나 큰 혜택을 보았을 것인가!

- 데일 카네기,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중에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05870

-

​엔지니어링 같은 기술적인 분야에서도 기술적 지식이 경제적 성공에 기여하는 바는 15퍼센트에 불과하고 나머지 85퍼센트는 인간관계의 기술, 즉 성격과 통솔력에 달려 있다고 한다.

- 데일 카네기,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중에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05870

-

​그들이 내게 온 이유는 오랜 관찰관 경험을 통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가장 높은 소득을 올리는 사람들이 그 분야의 전문지식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이 아닌 경우가 많다는 점을 마침내 깨달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이나 회계, 건축 등 전문분야의 경우라도 단순히 기술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을 고용하는 데는 주급 25달러에서 50달러만 들이면 된다. 시장에는 그런 사람들이 쌓이고 쌓여 있다. 하지만 기술적 지식에 더해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리더십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열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 이런 사람에게는 더 보수가 높은 일자리가 기다리고 있다.

한참 왕성히 활동하던 시절에 존 D. 록펠러는 매튜 C. 브러시에게 이렇게 말했다. "사람을 다루는 능력도 설탕이나 커피와 마찬가지로 사고파는 상품이라네, 나라면 이 세상 그 어떤 것보다도 그 능력을 사는 데 더 많은 값을 치르겠네."

- 데일 카네기,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중에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05870

-

'교육이란 살아가면서 생기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처하는 능력'이라고 프린스턴 대학 총장을 지낸 존 G. 히번 박사는 얘기했다.

허버트 스펜서가 얘기한 대로 '교육의 가장 큰 목표는 지식이 아니라 행동'

- 데일 카네기,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서문 중에서​

http://www.yes24.com/Product/goods/230587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