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2 마음에 드는 구절) 주식시장에서 성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 <그랜빌의 최후의 예언> 중에서 주식시장에서 성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이 말은 기업이익에도 적용되는 원칙이다. 그래서 기업이익이 가장 낮을 때 그 주식을 사고 기업이익이 가장 높을 때 그 주식을 팔아야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가? 반대로 하고 있다. 기업이익이 최고에 달해 있을 때 사람들은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그때는 대체로 주식시장이 마지막 시세에 있을 때이다. - 중에서 http://www.yes24.co.kr/Product/goods/150631 - 만약에 기업이익은 '신뢰할 수 없는 시장지표'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기업이익에 근거한 투자방식은 모두 엉터러리라는 게 증명된다. 이익 관련 지표 중에 가장 보편적인 지표는 주가수익비율(PER)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 2019. 6. 3. 마음에 드는 구절) 하지만 과연 우리는 이것을 가격의 기준으로 삼는 데 동의할 수 있을까? -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중에서 하지만 과연 우리는 이것을 가격의 기준으로 삼는 데 동의할 수 있을까? PER가 높다, 낮다는 것은 그 중간의 기준을 정할 수 없고, 회사 자산을 말해주는 장부가치는 실제 그 회사를 청산했을 때 실제 가치와는 절대로 같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회사의 가치를 사람을 배제하고 장부가치로만 평가할 수는 더더욱 없는 일이므로 이것 역시 분석을 위한 분석에 지나지 않으며 오히려 이런 수많은 분석수단과 정보들은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 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 만들어낸 수많은 기준들 중에 어느 것을 선택할지가 더 어려운 문제가 되어버린 것이다.- 중에서http://www.yes24.co.kr/Product/goods/5791628 2019. 6.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