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64 투자조언) 투자 리스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투자 리스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일까? 부정적인 경제 사건 때문인가?예상에 미치지 못한 기업 실적 때문인가?기업의 제품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인가?이익 감소나 낮은 신뢰도 때문인가? 모두 아니다.투자 리스크는 펀더멘털을 기초로 해서는 정당화할 수 없고, 비이성적으로 높은 벨류에이션을 부여하는, 새로우면서도 사람을 도취시키는 투자 이유로 인해 자산가격이 과도하게 높아졌을 때 발생한다. 그러면 언제 이 가격에 도달하는가?위험회피와 경계심이 사라지고 위험수용과 낙관주의가 지배할 때다. 이런 상태가 투자자들의 가장 큰 적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71 2019. 11. 6. 투자조언) ‘상승 국면의 초입인지 막바지인지’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그때 진지하게 ‘상승 국면의 초입인지 막바지인지’라는 막스의 질문에 대해 고민했다면 지금과는 다른 결과를 얻은 사람이 많았으리라 생각한다. 이것은 앞으로도 마찬가지다. 막스의 질문을 기억하고, 또 그의 책을 통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워간다면 앞으로 절호의 투자 기회를 놓치는 일은 더는 없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1 끝나가는 2019년, 그리고 다가오는 2020년은 어떤 국면인가 2019. 11. 6. 투자조언) ‘미신’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6 심지어 한주에 300만 원을 호가하던 삼성전자 주식도 2008년 말에는 50만 원 이상 떨어진 적이 있었다. 상황이 이러다 보니 자산시장의 참가자들은 마음을 놓을 수 없다. 그래서 여러 ‘미신’에 의지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미신이 바로 그 10년 주기설이다. 하지만 다들 알다시피 10년 주기설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면, 그래서 투자에 소극적으로 굴었다면 2017년(주식)과 2018년(서울 아파트)의 투자 찬스는 분명 놓쳤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6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이 미신은 아니었을까? 2019. 11. 5. 투자조언) 계속 강조하는 말이지만 투자에서 수익을 주는 것은 시간이다. - <나는 주식과 맞벌이한다> (이동규 지음) 중에서 주식투자를 하는 이유는 미래의 돈 걱정을 덜고 현재에 집중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지, 매일 주가차트를 보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네. - (이동규 지음) 중에서 p.165 주가는 오늘 오르기도 하고 내일 떨어지기도 한다. 언제 오를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 (이동규 지음) 중에서 p.165 장기투자니 성장주투자니 하는 것들은 말은 쉽지만 실제로 실천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반드시 해야만 하는 투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지루함을 달래기 위한 자신만의 전략이 필요하다. - (이동규 지음) 중에서 p.181 결국 주식투자는 내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임직원들이 벌어다 주는 것이며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나는 이미 알고 있었다. 관건은 이 지루함을 어떻게 버티고 포기하지 않느냐 하는 것이었다... 2019. 11. 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