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조언111 투자조언) 하지만 기본적인 상승 추세에도 불구하고 그 모양이 직선은 아니었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위에 열거한 성장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경제와 시장의 뒤에서 불어오는 강한 순풍이었고, 오랫동안 장기적인 상향 추세를 만들어왔다.하지만 기본적인 상승 추세에도 불구하고 그 모양이 직선은 아니었다. 경제와 시장은 단기 변동의 주기적인 침체로 몇 년마다 쉬어가야 했다. 추세선을 중심으로 한 사이클은 빈번한 등락을 만들었다. 대부분은 비교적 약하고 짧았지만, 1970년대에 시작된 경제 침체 때는 인플레이션이 16퍼센트에 달했고, 평균적인 주가는 2년 만에 거의 절반이나 하락했다. 이에 대해 는 '주식의 죽음'을 알리는 커버스토리를 실기도 했다(1979년 8월 13일). 그렇다. 주식시장에서 보낸 나의 40년이 모두 다 장밋빛이었던 것은 아니다.우리는 때로 더 나쁜 경제와 더 나은 경제, 침체와 번영, 불황.. 2019. 11. 24. 투자조언) "어제 시장에 좋았던 모든 것들이 오늘은 그렇지 않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어제 시장에 좋았던 모든 것들이 오늘은 그렇지 않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43"오늘 월스트리트에서는 금리 인하 소식이 주식시장을 상승시켰지만, 금리 인하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리라는 예상이 나와 시장은 다시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로 부진한 경기가 살아날 수도 있다는 인식이 다시 시장을 상승시켰고, 이에 경제가 과열되어 금리를 더 높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시장은 결국 하락했습니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44 대부분의 사건은 유익한 측면과 해로운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2019. 11. 23. 투자조언) 시계추가 움직이며 그리는 아치의 중간지점은 시계추의 위치를 '평균적으로' 가장 잘 설명하지만, 실제로 시계추가 그곳에 머무르는 시간은 아주 짧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 주식시장의 심리적 변동은 시계추의 움직임과 비슷하다. 시계추가 움직이며 그리는 아치의 중간지점은 시계추의 위치를 '평균적으로' 가장 잘 설명하지만, 실제로 시계추가 그곳에 머무르는 시간은 아주 짧다. 시계추는 늘 아치의 극단을 향해 움직이거나 극단으로부터 멀어진다. 다만 극단에 가까워질 때마다, 머지않아 다시 중간지점으로 되돌아올 수밖에 없게 된다. 사실 되돌림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한쪽 극단을 향한 움직임 그 자체이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28마지막으로, 수익률이 극단적일 때는 여러 해에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투자자들의 심리적 움직임이 얼마간 지속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군집해서 일어난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132 년 단위 수익률을 살펴보는 .. 2019. 11. 22. 투자조언) 가격과 가치의 관계 이외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모든 투자활동은 비이성적이다.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똑똑한 투자에는 단 한 가지 형태가 있다. 가치가 있는 것을 찾아내서 그것을 적정 가격이나 그 이하의 가격에 사는 것이다. 가치를 수량화해서 매력적인 매수 가격을 고집하지 않는다면 똑똑한 투자를 할 수 없다. 가격과 가치의 관계 이외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모든 투자활동은 비이성적이다.- (하워드 막스 지음) 중에서 p.272 좋은 기업이고 저평가 돼있는 건 동의한다고 한다. 그런데 시황이 좋지 못해서, 인기가 없어서, 거래량이 적어서, 60일선이 어쩌고 저쩌고...반면에 공부를 해봤는데 생각한 것 보다 좋지 않다고 한다. 그래도 차트가 자리를 잡아서 손절선 짧게 잡고 적당히 먹고 나올거라고 한다.그럴거면 기업분석은 왜 하는가. 2019. 11. 21. 이전 1 2 3 4 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