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토지투자) 농지연금 프로젝트: 월세는 공실이 있지만, 연금은 공실이 없다. - 시루님

by 고니과장 2019. 2. 9.

(토지투자) 농지연금 프로젝트

: 월세는 공실이 있지만, 연금은 공실이 없다.

- 시루채널 시루님


토지투자 공부 중 농지연금이란 녀석이 보여서 여기에 정리해둔다.

향후 부모님 노후를 위해서 농지연금을 활용할 때가 올지 모르기에.

농지연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특징과 장점, 그리고 자격이 어떻게 되는지 정리.

=

1. 농지연금이란?

"농지연금이란 영농경력 5년 이상만65세이상 고령 농업인이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형태로 생활비를 받을수있는 제도를 말한다."

즉, 농지를 담보로 연금형태의 생활비를 받는 역 모기지론 상품이다.

-

그럼 농지는 뭘까?

지목이 '전(밭)', '답(논)', '과수원'이며,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토지.

-

역 모기지론 상품은 무슨 말일까?

주택연금과 농지연금은 역모기지론 상품이다.

모기지론 : 크게 빌려 조금씩 갚음

역모기지론 : 조금씩 비릴고 크게 갚음

=

2. 농지연금의 특징 및 장점

-

2-1. 2019년 변경 사항 (상향)

감정평가율 상향(80%->90%)

가입자의 기대수면 조정(14년 생명표->16년 생명표)

기대이율 하향(4%->3.65%)

결론,

조건이 더 좋아졌다.

신규 가입자 월지급금(최대) : 감정평가 20.6% 상승, 공시지가 7.3% 상승

-

2-2. 월세 vs 연금 비교

월세는 밀리지만, 연금은 밀리지 않는다.

월세는 공실이 있지만, 연금은 공실이 없다.

월세는 임차인이 주지만, 연금은 나라에서 준다.

임차인은 전화하지만, 나라는 전화하지 않는다.

결론,

월세보다 연금이 좋다.

-

2-3. 농지연금은 대출상품

농지연금은 다른 연금과 함께 받을 수 있다. 

연금의 종류

(1) 공적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2) 사적연금 (연금저축, 퇴직연금, 신탁, 펀드)

(3) 부동산연금(주택연금, 농지연금)

결론,

부동산연금은 이름은 연금이지만 대출상품이기에 공적연금과 별개로 합산되지 않는다.

-

2-4. 농지연금 가입농지 재산세 감면: 지방세 특례 제한법

농지연금에 가입한 농지는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는다. 

농지연금에 가입한 농지는 공시지가 6억원까지는 재산세가 감면된다. (시세로는 9억원에서 12억원정도)

그래서 보유하는데 부담이 없다.

결론,

괜찮은 위치의 농지를 낙찰받아 농지연금으로 세팅후 장기보유한다면 토지투자의 괜찮은 전략이 될수있다.

-

2-5. 진입 문턱

농지연금은 영농경력 5년 이상인 만65세이상 고령 농업인이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형태로 생활비를 받을수있는 제도

즉, 모든분들이 신청할수는 없다는 얘기다. 

결론,

그래서 좋다. 제한경쟁이기때문에.

=

3. 농지연금 자격조건

농지연금은 영농경력 5년 이상인 만65세이상 고령 농업인이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형태로 생활비를 받을수있는 제도

즉, 자격조건을 따져본다면 두 가지가 있다.

(1) 만65세이상

(2) 영농경력 5년 이상

-

3-1. 가입대상(연령)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춘 신청당시 농업인.

신청연도 말일 기준으로 가입자인 농업인이 만 65세 이상.

(2019년의 경우 1954.12.31 이전 출생자 일 것)

(60년생이라면 2025년, 62년생이라면 2027년)

-

3-2. 영농경력

영농경력 5년

영농경력은 농지원부라는 서류를 발급받을수있으면 가능

농지원부라는 서류는 누구가 발급을 받을수있는건 아니고 농업인이어야지 발급이 가능 

-

농업인의 범위

1. 1천제곱미터 이상의 농지에서 농작물 또는 다년생식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거나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자

2. 농지에 330제곱미터 이상의 고정식온실·버섯재배사·비닐하우스, 그 밖의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농업생산에 필요한 시설을 설치하여 농작물 또는 다년생식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자.

3. 대가축 2두, 중가죽 10두, 소가축 100두, 가금 1천수 또는 꿀벌 10군 이상을 사육하거나 1년 중 120일 이상 축산업에 종사하는 자

4.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인 자

(※ 1. 2. 항목에 본인소유라는 조건은 없다. 즉, 농지를 임차해서 자경하는 것도 가능)

-

농업인이 되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

1,000제곱미터 이상의 농지를 임차해서 자경하는것

또는 꿀벌 10군을 키우는 것

그외 방법은 비용면에서 비슷

경우에 따라서는 300만원으로도 농업인이 되는게 가능 

=

추가 정보 및 공부 내용을 추후 추가할 계획.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