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소위 ‘기술적 분석’이라는 것을 공부하고, 그러한 움직임에서 규칙을 찾아 기법화하면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방식의 문제점이 무엇일까요?
주가의 움직임을 수학식 몇 개의 조합으로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논리적’으로 틀렸다는 것이죠.
-알라딘 eBook <주식투자 리스타트> (systrader79 지음) 중에서
그렇다면 기술적 지표는 왜 본질적으로 불완전할까요?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기술적 지표는 한마디로 주가의 그림자에 불과하기 때문이죠. 무슨 말이냐고요? 주가의 움직임에 의해 기술적 지표의 값이 나타나는 것이지, 기술적 지표에 의해 주가의 움직임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알라딘 eBook <주식투자 리스타트> (systrader79 지음) 중에서
여러분, 2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했기 때문에 주가가 오릅니까? 주가가 올랐기 때문에 20일 이동평균선이 돌파되는 현상이 나타납니까? 말장난하는 것처럼 들릴지 몰라도 대단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어느 것이 정답일까요? 주가가 올랐기 때문에 그 결과로 20일 이동평균선이 돌파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죠?
-알라딘 eBook <주식투자 리스타트> (systrader79 지음) 중에서
기술적 지표를 통한 매매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이것도 결국은 주가의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기술적 지표나 매매 전략이 본질적으로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받아들여야만 이를 제대로 쓸 수 있게 됩니다.
-알라딘 eBook <주식투자 리스타트> (systrader79 지음) 중에서
가치투자
댓글